<< Click to Display Table of Contents >> Navigation: HydraDNS > Smart Multi-Line > Quick Guide > 서비스 버전 (트라이얼 버전에서 변경) |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을 사용하는 중에 SML 서비스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에서 SML 서비스 버전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SML 서비스 연결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의 SML Client, SML Server 모두 관리자 웹서비스에 접속하여 설정 페이지나 트래픽 통계 페이지에 있는 ‘Use SML Service‘ 버튼을 누릅니다. 참고로 예시에서는 앞서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 설치 때 사용했던 SML Client 장비의 IP 192.168.20.46과 SML Server 장비의 IP 192.168.20.49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Use SML Service’ 버튼을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이 HydraDNS의 SML 서비스 정보를 묻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ID는 HydraDNS의 사용자 ID를, Password는 HydraDNS의 사용자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MCS Service Order Number에는 앞서 구입한 SML 상품의 주문번호를 입력합니다. 여기서는 주문번호를 ‘200805306873’을 입력하도록 하겠습니다.
Confirm 버튼을 누르게 되면 SML 서비스 인증을 받게 되며 인증이 성공하면 SML 서비스 사용을 위한 SML 서비스 패키지를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게 됩니다.
위의 과정을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의 SML Client, SML Server 모두 해줘야 합니다. 정상적으로 SML 서비스 인증을 받고 SML 서비스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 자동 설치가 되면 1분 뒤에 다시 SML Client 장비 IP와 SML Server 장비 IP를 웹브라우저로 접속해서 확인합니다.
위의 화면은 예시로 진행했던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의 SML Server 장비를 트라이얼 버전에서 서비스 버전으로 변경한 이후 관리자 웹서비스의 설정 화면입니다. Frontend, Backend의 설정 정보가 트라이얼 버전 때 입력했던 내용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화면은 마찬가지로 예시로 진행했던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의 SML Server 장비를 트라이얼 버전에서 서비스 버전으로 변경한 이후 관리자 웹서비스의 설정 화면입니다. Frontend, Backend의 설정 정보가 트라이얼 버전 때 입력했던 내용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SML 장비 확인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에서 SML 서비스 버전으로 변경 이후에는 SML 장비들은 HydraDNS 서비스의 SML 대시보드를 통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HydraDNS 서비스의 SML 대시보드에서 SML Device Status의 전체 장비 숫자와 정상 상태 숫자가 4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문번호 200805306873의 SML 상품의 SML Device Status에도 전체 장비 숫자와 정상 상태 숫자가 4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SML Device Status의 눈 모양 아이콘을 눌러서 SML 설정 모니터링 대시보드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이 추가된 SML 장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ML 설정 모니터링 대시보드에 SML IP가 192.168.20.49, 192.168.20.46인 SML 장비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에서 SML Server로 사용했던 192.168.20.49 장비를 확인해 봅니다.
신규 설치 때와 달리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에서 서비스 버전으로 변경되어서 SML 장비 등록이 되는 경우에는 기존 트라이얼 버전에서 설정했던 내용들이 그대로 함께 등록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동으로 SML Server로 인식되게 됩니다. Device Alias에만 구분을 위한 별칭을 입력하고 Save 버튼을 눌러서 저장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에서 SML Server로 사용했던 192.168.20.46 장비를 확인해 봅니다.
SML Server와 마찬가지로 기존 트라이얼 버전에서 설정했던 내용들이 그대로 함께 등록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동으로 SML Client로 인식되게 됩니다. Device Alias에만 구분을 위한 별칭을 입력하고 Save 버튼을 눌러서 저장하면 됩니다.
3.SML 서비스 구동
SML Client와 SML Server의 설정이 끝났기 때문에 제대로 동작하는지 체크를 해야 합니다. 예시로 SML Server에서 테스트용 서비스 서버로 IP 192.168.20.39에 테스트용 웹서버를 설정했습니다. 웹브라우저에서 192.168.20.39를 접속하면 테스트용 웹서버에 접속을 합니다.
이제 SML Client인 192.168.20.46에도 접속을 합니다. SML Client, SML Server가 제대로 설정이 되었다면 SML Client에 접속을 하더라도 테스트용 웹서버, 즉 192.168.20.39에 접속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보게 될 것입니다.
4.트래픽 통계 확인
SML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한다면 SML Server와 SML Client에 트래픽 사용에 대한 트래픽 통계가 쌓이게 됩니다. SML 서비스에서 사용한 트래픽 통계는 SML 대시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트래픽 통계 내용은 Traffic Status의 눈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트래픽 상태 페이지로 이동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SML 서비스 트라이얼 버전에서 기록되었던 트래픽 통계 정보는 SML 서비스 버전으로 변경되면서 모두 지워지게 됩니다.
트래픽 통계 페이지로 들어가게 되면 기본적으로 SML Server의 트래픽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Client Statistics를 누르게 되면 SML Client의 트래픽 통계 역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ML 각 장비의 관리자 웹서비스에서도 통계 확인이 가능하지만 최대 3일치 통계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HydraDNS 서비스의 SML 대시보드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